4차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전략
- 2022년까지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 7,500개, 총 매출액 70조원,
고용인원 30만명 달성 –
【 행사 개요 】
□ 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유영민, 이하 ‘과기정통부’)는 24일(목) 대전시청 열린 ‘대전의 꿈, 4차 산업혁명 특별시’ 보고회에서 ‘4차 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전략’을 발표하며, 대덕 특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역 혁신성장 모델을 창출하고 확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.
ㅇ 이날 행사에는 과기정통부·기재부‧중기부‧국토부 등 관련부처, 대전시장, 지역 국회의원, 과학기술인 등 150여명이 참석하였다.
|
< 행사개요 > |
|
|
| |
‣ 일시/장소 : ’19.1.24일(목), 10:20~ / 대전시청
‣ 참석자 : 과기정통부 장관, 대전시장, BH, 국회의원, 관계부처(기재·중기 장관, 국토 차관), 과학기술인 등 150여명
‣ 주요내용 : 「4차 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전략」 발표,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비전 및 전략 발표, 현장방문, 대전시 경제인 오찬간담회 등 |
【 정책 환경 】
□ 과학기술 연구성과는 창업과 기술이전을 통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로 이어지고,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내고 있다.
o 그러나, 이를 위해서는 신기술과 혁신인재가 결합되는 지역혁신 플랫폼이라는 토양이 필수적이며 연구개발특구는 좋은 사례로 제시되고 있다.
□ 정부 연구개발(R&D) 투자*는 우리 주력산업을 반도체, 자동차 등 기술기반 중심으로 고도화 하는데 핵심역할을 수행해 왔으며, 65%를 비수도권 지역에 투자하여 지역의 불균형을 완화하는데도 기여해 왔다.
* (’17) 19.7조원 → (’19) 20.5조원
o 특히, 대덕특구(‘05년 지정)를 중심으로 하는, 5개 연구개발특구에서는 특구내의 대학‧출연(연)‧기업‧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이 상호협력해서 ’17년말 기준 총 매출액 44.5조원, 고용인원 18.6만명을 창출하는 등 지역의 경제성장을 주도하였다.
【 중점 추진 과제 】
□ 과기정통부는 대덕 특구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이 되도록 하기 위해 6가지 중점 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.
➀ 지자체가 R&D를 주도하도록 지원 |
□ 지자체가 R&D를 주도하는 ‘지역주도 R&D 개선방안’을 ‘19년 상반기에 마련할 계획이다.
o 기존에 중앙정부가 사업을 주도해서 기획하고, 지자체가 사업비 매칭을 통해 참여하였지만, 앞으로는 지자체가 직접 R&D사업을 제안하고 중앙정부는 기획 컨설팅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며,
o 테크노파크(TP)‧연구개발지원단‧출연(연) 분원 등 다양한 지역혁신기관들을 지자체 중심으로 연계․협력토록 할 방침이다.
➁ 출연(연) 분원이 지역 혁신성장에 기여하도록 기능 강화 |
□ 61개의 출연(연) 지역분원이 지역혁신의 매개체로서 지역 혁신성장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
o 대덕에 위치한 출연(연) 본원의 우수한 R&D성과와 고급인력이 지역분원을 통해 지역으로 확산되고, 지역기업의 R&D사업화와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 할 계획이다.
o 아울러, 장기적으로는 출연연구소 지역분원의 운영에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.
➂ 특구 중심의 과학기술 혁신인재 성장 체계 구축 |
□ 대학은 교육혁신을 통해 빅데이터, SW 분야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고,
ㅇ 특히, 과기특성화대(4대 과학기술원 4차 인재위원회)가 중심이 되어 미래인재육성에 맞는 공학교육 혁신모델과 발전과제를 발굴‧추진해 나갈 예정이다.
※ 무학과‧무전공 제도, DNA교육 강화, 프로젝트 중심 교육, 창업맞춤‧산학연계 프로그램 등
□ 출연(연)은 대학이 배출한 과학기술 인력이 연구‧창업‧취업 등 다양한 경로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.
ㅇ 특히, 이공계 졸업생에 대해 기업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을 쌓은 후 현장실무형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*하여 대학교육과 기업현장과의 미스 매치를 해소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.
* 출연(연) 4차인재양성 (2,400명, ~22년)
➃ 신기술 사업화펀드 확충 및 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도입 |
□ 특구 지역에서 실험실기술을 잘 활용하는 초기 기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특구펀드의 자금규모를 현재보다 3배 조성‧확대((’18년) 1,400억원 → (’22년) 4,200억원)하고,
ㅇ ‘19년에는 대덕 특구내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150억원의 신규 특구펀드 조성에 착수할 계획이다.
ㅇ 또한, 4차 산업혁명 지원을 위한 전용 펀드(1.2조원 목표, ‘19년)를 신설하여 5세대(5G) 이동통신, 인공지능,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관련 중소‧중견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.
□ 출연(연)에서 창출되는 다양한 신기술에 대해 실증이 가능하도록 연구개발특구 내 ‘신기술 테스트베드’를 ‘19년 상반기 특구법 개정을 통해 도입함으로써,
ㅇ 신기술이 사업화단계의 규제 샌드박스로 이어질 수 있는 중간단계의 징검다리를 제공하여 신산업 촉진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.
➄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|
□ 2023년에 출범 50주년을 맞이하는 대덕연구단지는 설립당시의 저밀도‧독립적 연구단지에서 현재 문화‧상업지원기능 확충 및 산학연 교류협력 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.
ㅇ 대덕특구의 공간과 기능을 효율화하는 리노베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대덕 기존특구 내 미개발지*를 본격 개발하고, 산학연 소통 비즈니스 거점을 마련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동시에,
* 5개 특구 총 면적 139㎢ 중 미개발지 면적 41㎢(약 30%), 대덕은 25㎢(약40%)
ㅇ 첨단 연구인프라 비즈니스 환경이 결집하여, 젊은 연구자와 기업이 모이는 지역 혁신성장의 모델로 만들어 과학기술 수도인 대전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중심지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.
➅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전국의 혁신플랫폼 연계 |
□ 대덕 특구의 성과와 노하우를 타 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 ’22년까지 10개 이상의 강소특구*를 지정할 계획이며,
* (강소특구 개념) 지자체 주도로 운영되는 2㎢ 이내의 소규모 자족형 공간
ㅇ 대덕 특구를 중심으로 기존의 4개 특구(광주‧대구‧부산‧전북)와 강소특구를 하나로 연계하는 전국의 혁신플랫폼을 구축하여 성과를 창출해 나갈 예정이다 .
□ 이번 ‘4차 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전략’ 이행을 통해,
ㅇ ’22년까지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 7,500개, 총 매출액 70조원, 고용인원 30만 명을 달성하여 연구개발특구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이 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.
붙임1 |
|
4차산업혁명 선도 지역거점 창출전략(요약) |
1 |
|
정책환경 |
□ 정부 R&D 자는 연구개발특구를 통해 지역경제 성장 및 불균형 완화에 기여
ㅇ 대덕특구(‘05년 지정) 포함 5개 연구개발특구는 지역의 대학·기업·출연(연)·기술사업화 지원기관을 연계하여 과학기술 발전과 경제 성장을 주도
* 특구 기업 매출액 : 2.5조(‘05) → 44.5조(’16), 고용인원 : 2.4만명(‘05) → 17.8만명(’16)
* 고용측면에서 특구는 우수한 모델 : 국내 매출1위 기업의 총고용인원보다 약2배 많은 고용효과
ㅇ 연구소기업이 700개를 돌파하고, 콜마BNH 등의 성공사례가 도출되는 등 특구 중심 연구성과 사업화는 혁신성장의 원동력
* 연구소기업 : 공공연구기관(대학, 출연(연))이 기술을 출자해 특구 내에 조성한 기업
2 |
|
중점추진과제
|
◈ 대덕특구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지역 혁신성장의 거점이 되도록 지원 ◈ (추진방향) 6개 중점추진 과제를 통해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모든 연구개발특구를 하나로 연계 ⇒ ’22년까지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 7,500개, 총 매출액 70조원, 고용인원 30만명 달성 |
ㅇ (과제1) 지자체가 R&D를 주도*하는 ‘지역주도 R&D 개선방안’을 마련(‘19년 上)
* 지자체가 R&D사업을 제안하고 중앙정부는 기획 컨설팅을 지원
ㅇ (과제2) 출연(연) 지역분원(61개)의 지역 혁신성장 기여 강화를 위해 장기적으로 지역분원의 운영에 지자체의 주도적 참여 확대
ㅇ (과제3) 대학 교육혁신을 통해 4차 인재(빅데이터·AI 실무인력, SW 최고급인재) 양성, 출연(연)의 대학 배출 인력의 성장지원 기능 강화
* 박사후연구원 안정적 연구경력 개발, 이공계 미취업자 필요 직무역량 배양 등
ㅇ (과제4) 기술사업화 자금 확대(특구펀드 3배 증액), 출연(연) 창출 기술의 실증을 위한 테스트베드 도입(특구법개정 추진, ‘19년 상)
* 기술사업화 지원 연구개발특구펀드 확대 : (‘18)1,400억원 → (’22)4,200억원
ㅇ (과제5) 대덕특구 내 미개발지(24.8㎢)를 개발하고 산학연 소통 비즈니스 거점 마련을 위한 리노베이션 추진,
ㅇ (과제6) 강소특구*를 신규 지정하고 대전특구를 중심으로 전국적 혁신플랫폼 구축
* 혁신기술 보유 기관 중심의 소규모 자족형 공간 : ‘22년까지 10개 이상 지정
붙임3 |
|
연구개발특구 주요통계 (`17년 12월 기준) |
1. 입주기관 현황 (‘17. 12월 기준)
(단위 : 개)
구 분 |
연구분야 기관 |
비 연구분야 기관 |
기업 |
합계 | ||||||||
공공연구기관 |
기타 연구 기관 |
소계 |
정부 및 공공기관 |
기타 비영리 기관 |
소계 | |||||||
정부 출연 (연) |
교육 기관 |
전문생산기술 연구소 |
국공립 연구 기관 |
정부 기관 |
국공립 기관 | |||||||
대덕 |
26 |
7 |
- |
3 |
9 |
45 |
10 |
14 |
23 |
47 |
1,784 |
1,876 |
광주 |
3 |
4 |
3 |
2 |
3 |
15 |
11 |
10 |
10 |
31 |
1,175 |
1,221 |
대구 |
5 |
8 |
1 |
- |
- |
15 |
2 |
5 |
5 |
12 |
786 |
813 |
부산 |
3 |
6 |
1 |
- |
- |
11 |
1 |
2 |
3 |
6 |
914 |
931 |
전북 |
7 |
4 |
1 |
5 |
- |
21 |
- |
6 |
- |
6 |
482 |
509 |
합계 |
44 |
29 |
6 |
10 |
12 |
107 |
24 |
37 |
41 |
102 |
5,141 |
5,350 |
2. 매출 및 고용 현황 (‘17. 12월 기준)
(단위 : 백만원/명)
구 분 |
대 덕 |
광 주 |
대 구 |
부 산 |
전 북 |
전 체 |
매출 |
16,034,849 |
10,714,641 |
8,596,683 |
5,930,595 |
3,283,755 |
44,560,523 |
인력현황 |
72,671 |
29,714 |
36,373 |
28,529 |
18,939 |
186,226 |
3. 연구개발비 현황 (‘17. 12월 기준)
(단위 : 백만원)
구 분 |
자체부담 |
외부조달 |
총 연구개발비 |
대 덕 |
4,226,611 |
3,763,348 |
7,989,959 |
광 주 |
211,420 |
296,077 |
507,497 |
대 구 |
265,312 |
471,837 |
737,149 |
부 산 |
113,978 |
384,310 |
498,288 |
전 북 |
122,816 |
429,727 |
552,543 |
전 체 |
4,940,137 |
5,345,299 |
10,285,436 |
5. 연구성과 (‘17년 12월 기준)
(단위 : 건, 백만원)
구 분 |
국내특허(누적) |
해외특허(누적) |
기술이전건수 |
기술이전료 | ||
출원 |
등록 |
출원 |
등록 | |||
대 덕 |
131,509 |
65,530 |
61,144 |
24,287 |
1,667 |
61,249 |
광 주 |
11,834 |
7,752 |
3,283 |
1,582 |
356 |
7,730 |
대 구 |
9,742 |
8,169 |
1,119 |
444 |
418 |
5,838 |
부 산 |
8,028 |
5,374 |
985 |
214 |
356 |
5,954 |
전 북 |
11,830 |
7,933 |
848 |
157 |
1,001 |
5,278 |
전 체 |
172,943 |
94,758 |
67,379 |
26,684 |
3,798 |
86,049 |
6. 특구내 코스닥등록기업 현황 (‘17. 12월 기준)
(단위 : 개)
구 분 |
대 덕 |
광 주 |
대 구 |
부 산 |
전 북 |
전 체 |
2017 |
41 |
10 |
17 |
12 |
4 |
84 |
7. 첨단기술기업 현황 (‘18. 12월 기준)
(단위 : 개)
구 분 |
대덕 |
광주 |
대구 |
부산 |
전북 |
전체 |
기업수(누적) |
117 |
19 |
12 |
9 |
10 |
167 |
운영기업 수 |
16 |
14 |
8 |
6 |
10 |
54 |
붙임4 |
|
연구소기업 현황 |
1. 정의 및 설립유형
ㅇ (정 의)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위하여 특정 요건(특구법 제9조의3)의 주체*가
자본금 규모에 따라 10∼20%이상을 출자하여 특구 내 설립하는 기업
* 설립주체 : 공공연구기관(출연연·대학), 기술지주회사, 신기술창업전문회사 등
ㅇ (설립유형) 설립주체 및 출자방식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
구 분 |
연구소기업 자회사 설립 (합작투자형) |
기존기업 → 연구소기업 전환 (기존기업기술출자형) |
연구자 창업 (신규창업형) |
개 념 |
|||
기업수 |
298(42%) |
236(34%) |
170(24%) |
2. 현 황
ㅇ (설 립) 대덕 263, 광주 113, 대구 152, 부산 102, 전북 74 등 총 704개社 설립
< 연구소기업 연도별 설립 건수 >
구분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9 |
‘10 |
‘11 |
‘12 |
‘13 |
‘14 |
‘15 |
‘16 |
‘17 |
‘18 |
합계 |
대덕 |
2 |
4 |
6 |
7 |
3 |
6 |
7 |
3 |
16 |
34 |
60 |
44 |
71 |
263 |
광주 |
- |
- |
- |
- |
- |
- |
1 |
2 |
7 |
13 |
23 |
40 |
27 |
113 |
대구 |
- |
- |
- |
- |
- |
1 |
1 |
3 |
15 |
12 |
50 |
38 |
32 |
152 |
부산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5 |
9 |
27 |
34 |
27 |
102 |
전북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- |
3 |
19 |
25 |
27 |
74 |
합계 |
2 |
4 |
6 |
7 |
3 |
7 |
9 |
8 |
43 |
71 |
179 |
181 |
184 |
704 |
ㅇ (성 장) 최근 5년간(‘13~’17)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은 25.4%, 고용증가율은 38.1%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임
< 연구소기업 매출액 및 고용 실적 (단위 : 백만원, 명) >
구 분 |
2012년 |
2013년 |
2014년 |
2015년 |
2016년 |
2017년(E) |
매출액 |
120,858 |
164,362 |
236,504 |
292,137 |
383,139 |
473,899 |
종업원 |
524 |
639 |
850 |
1,194 |
1,908 |
2,542 |
3. 주요 성공사례
구 분 |
주요내용 |
주요제품 | |
|
헬스케어 (면역,항암효과 제품) | ||
콜마 BNH㈜ |
◈ 제1호 연구소기업(’06년, 원자력(연)) ◈ 상장일(’15.2.3) 종가기준 시가총액 1조276억원 ◈ 대박 연구원 탄생(100억원대 인센티브 예상) ◈ 연평균 매출액 86% 신장, 고용 39% 증가 |
||
|
|
체외 진단기 (디지털 임신테스트기 등) | |
㈜수젠텍 |
◈ 제28호 연구소기업(’11년, 전자(연)) ◈ 상장일(’16.11.11). 시가총액 189억(’17.1.6기준) ◈ 디지털 임신·배란테스트 등 2종 국내 최초 미국 FDA 승인·유럽연합 CE 인증 ◈ 코스닥상장회사 자회사(케이맥바이오센터) 흡수합병을 통한 자체 생산설비 보유 ◈ 뛰어난 기술력 및 사업역량을 바탕으로 특구펀드로부터 3차에 걸쳐 40억원 투자 유치 |
||
|
|
나노기술기반 바이오센서 | |
(주)미코바이오메드 |
◈ 제13호 연구소기업(‘09년, 생명연) ◈ 연구개발특구 일자리창출투자펀드 등 40억 투자유치(‘15.10) ◈ 해외시장 총 5,700만달러(5년) 규모 독점 공급 계약 체결(‘15.3.5)에 따른 `16년 9,356백만원 매출 달성 ◈ 코넥스 상장법인 나노바이오시스㈜와의 M&A를 통해 성공적으로 연구소기업 졸업 |
||
|
|
시간 복약 모니터링 서비스 | |
제윤 메디컬 |
◈ 제 65호 연구소기업(‘14년, 전북대학기술지주) ◈ 실시간 복약 모니터링 서비스를 기반으로 재택 질병 통합관리 시스템 사업을 개척함 ◈ KOICA CTS seed 2사업에 선정 ’14년부터 모로코 전역 결핵 퇴치 사업을 수행, 우수한 성과대로 seed 3 진행 중(‘17.12∼) ◈ 모로코 결핵완치율을 상승에 기여(80%→ 98%), ODA 수원국(모로코)으로부터 약 2억원을 투자유치 첫 사례 ◈ 설립 후 4년만에 고용인원이 4배로 상승하며, 일자리창출 부분에서도 기여가 큼(’14년 5명→‘18년 20명) |
| |
|
에폭시 접합소재 (반도체 핵심소재) | ||
호전 에이블 |
◈ 제30호 연구소기업(’12년, ETRI) ◈ 반도체 핵심소재 기술인 에폭시 접합소재 세계 최초 제품화 성공 ◈ 중국 현지법인 설립(‘17.8)을 통해 해외 수출 및 시장 ◈ 연구소기업협회 회장(’18.12∼), ‘18년도 특구 기술사업화대상 장관표창, ’18년도 장영실상 수상 ◈ 창업 이래 고용창출 및 매출증진 성과도 뛰어남 * 고용(‘12년 : 5 → ’18년 : 16명), 매출액(‘12년 : 87 → ’18년 : 918백만원) |
붙임5 |
|
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황 |
구분 |
지 도 |
세부내용 | |
대덕연구개발특구 |
|
ㅇ (지정) 2005년 7월
ㅇ (범위) 대전 유성구, 대덕구 등
ㅇ (면적) 67.4km2 (2,040만평)
ㅇ (특화분야) IT융복합, 나노융합, 바이오메디컬, 정밀기기
ㅇ (주요기관) KAIST, 원자력(연), ETRI, 표준(연), 대기업연구소 등
| |
광주연구개발특구 |
|
ㅇ (지정) 2011년 1월
ㅇ (범위) 광주 광산구, 전남 장성군 등
ㅇ (면적) 18.7km2 (567만평)
ㅇ (특화분야) 광기반융복합, 스마트 그리드, 친환경자동차부품 등
ㅇ (주요기관) GIST, 광기술원, 조선대, 전남대, ETRI, 생기연 등 |
구분 |
지 도 |
세부내용 | |
대구연구개발특구 |
|
ㅇ (지정) 2011년 1월
ㅇ (범위) 대구 동구, 경북 경산시 등
ㅇ (면적) 22.3km2 (673만평)
ㅇ (특화분야) 스마트IT융복합, 그린 에너지, 의료용 기기, 메카트로닉스
ㅇ (주요기관) DGIST, 기계(연), 경북대, 영남대 등
| |
부산연구개발특구 |
|
ㅇ (지정) 2012년 11월
ㅇ (범위) 부산 강서구, 금정구 등
ㅇ (면적) 14.1km2 (426만평)
ㅇ (특화분야)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, 조선해양 플랜트 기자재, 그린해양기계 등
ㅇ (주요기관) 부산대, 해양대, 부경대, 기초과학지원(연) 등 |
구분 |
지 도 |
세부내용 | |
전북연구개발특구 |
|
ㅇ (지정) 2015년 8월
ㅇ (범위) 전주시, 완주군, 정읍시
ㅇ (면적) 16.3km2 (494만평)
ㅇ (특화분야) 농생명 융합산업, 융복합 소재부품 산업 등
ㅇ (주요기관) 전북대, 전주대, 방사선(연), 생명(연) 분원 등 |
출처-과학기술정보통신부
'시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계별 지원으로 실험실 창업 준비 돕는다 (0) | 2019.01.25 |
---|---|
초연결 지능화 시대를 위한 중장기 전파 정책의 밑그림 제시 (0) | 2019.01.25 |
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(심의회의) 전문위원회 본격 가동 (0) | 2019.01.25 |
2019 드론쇼 코리아 개막,드론분야 첨단 기술ㆍ제품의 장,2019 드론쇼 코리아 개막 (0) | 2019.01.25 |
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16인 신규 지정 (0) | 2019.01.25 |